선생님께, 서이초 2주기에 드리는 말씀 (서이초 2주기 논평, 말 걸기 Ep4, 말 걸기 수기 공모전, 300호 특집 북토크, 여름 아카데미, 여름 수련회, 학생 캠프)

메일

선생님께, 서이초 2주기에 드리는 말씀 (서이초 2주기 논평, 말 걸기 Ep4, 말 걸기 수기 공모전, 300호 특집 북토크,…

최고관리자 0 16

[메일]메인용_길게_250718.jpg

 

선생님, 어느덧 2년이 지났습니다. 2년 전 오늘이 기억나시나요? 방학을 고작 일주일 앞두고 일어난 서이초 선생님의 죽음에 많은 선생님들이 자기 일처럼 아파하고 괴로워하셨습니다. 애도하고 또 분노했습니다. 이후 많은 것이 바뀌었고, 또 동시에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얼마 전에 저는 큰마음 먹고 시력 교정 수술을 받았습니다. 이미 노안이 진행되기 시작한 늦은 나이에 받는 수술이어서, 모노비전(양쪽 눈의 시력을 다르게 하는 수술) 즉, 짝짝이 눈이 되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마치 지금의 교권 보호 제도와 현실의 차이가 큰 것처럼 제 눈도 그렇게 양쪽 눈의 시력 차이가 벌어지게 수술을 했습니다. 수술을 받고 처음 며칠간 정말 힘들었습니다. 지금, 이 글을 쓰면서도 저는 한 줄 쓰고 눈을 감았다가 다시 한 줄 쓰고 눈 감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의 답답함이 매우 컸습니다. 이러려고 비싼 돈 들여서 수술했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병원을 찾았을 때는 따져 물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수술 후 며칠 뒤 의사 앞에 딱 앉는 순간, 의사 선생님께서 “너무 불편하지요~?! 지금은 초점도 안 맞고 다 흐릿하고 그러실 거예요~! 모노비전 시술하신 분들 다 그래요.” 의사 선생님의 말씀에 제 마음이 확 녹아내렸습니다. ‘아, 원래 그런 것이구나~, 지금은 과도기구나~’ 이렇게 생각하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선생님, 지금 우리는 분명 제도와 현실의 간극 속에서 초점이 맞지 않고 지역마다 상황이 다르고, 매우 답답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너무나 힘들고 불안한 시간입니다. 그래서 저도 선생님들께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선생님, 많이 불안하시죠? 지금은 답답하고 힘드실 거에요! 다른 지역도 다 그렇습니다.” 이 말씀이 선생님께 위로가 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나아지리라는 분명한 희망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저는 진료를 마치고 나아지리라는 희망을 갖으면서도, 눈을 보호하기 위해 변색 선글라스도 사고,  눈 영양제도 샀습니다. 그리고 연차를 내어 쉬기도 했고요. 그저 가만히 있기 보다, 나아진 내일을 적극적으로 마주하기로 한 것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오늘도 한편으로는 실제적인 제도개선을 요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말 걸기’를 외칩니다. 교사의 정치기본권회복을 요구하고, 교육공동체회복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선생님, 초점이 맞지 않는 지금의 제도와 현실의 상태가 분명히 나아질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절대 오늘의 현실에 무뎌지지 말고 앞으로 나아갑시다. 학교에 민원대응팀을 요구하고 동시에 학생과 학부모에게 말을 겁시다. 또한 돌아가신 선생님의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동시에 나와 동료교사들을 살핍시다. 그것이 서이초 2주기에 그분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메일요약>


1. 서이초 2주기 논평 : 더 이상 죽음의 교육이 반복되어서는 안됩니다.

2. 말 걸기 캠페인 이렇게 하세요 - Ep4

3. 1학기 말 걸기 캠페인 수기 공모전

4. 월간 좋은교사 300호 특집 북토크 초대 

5. 좋은교사 여름 아카데미 

6. 회원단체 여름 수련회 

7. 여름 학생 캠프 안내

8. 이번 주 좋은교사는요^^   

 

 

 

1. 서이초 2주기 논평: 더 이상 죽음의 교육이 반복되어서는 안됩니다.


성명서 읽기(클릭)

 

 

 

2. 말 걸기 캠페인 이렇게 하세요. Ep4


다른 에피소드 더 보기(클릭)

 

 

 

 

 

3. 1학기 말 걸기 캠페인 수기 공모전

 

한 학기 동안 말 걸기 캠페인에 참여하신 수기를 공모합니다. 꼭 참여하셔서 커피도 받으시고, 좋은교사에만 있는 머그컵도 받아가세요.


이메일 : goodteacherk@gmail.com


수기 예시 보기(클릭)

 

 

 

 

 

4. 월간 좋은교사 300호 특집 북토크에 초대합니다.

 

생기부를 마친 그대여~! 여기로 오라!! 시원하고, 유쾌하고, 신나고, 재미있는 300호 행사에 선생님을 초대합니다. 참가비 무료! 오히려 참여자 모두에게 기쁨과 감동과 선물 증정!!


참여 신청하기(클릭)

 

 

 

 

5. 좋은교사 여름 아카데미 (마감된 강좌는 신청 불가)

지금 몇몇 강좌들은 마감 되었습니다. 나중에 취소 하시더라도 미리 신청부터 하세요!!! 

또한 좋은교사 여름 아카데미 연수는 좋은교사 회원이 아니어도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동학년 선생님과 함께 신청하세요!  


참여 신청 하기 (클릭)

 

 

 

 

 

 

6. 회원단체 여름 수련회 (DCF, TCF, 기윤실교사모임)


제자선교회(DCF)


이번 캠프는 그 동안 미국 DCF를 섬기시던 강용중 간사님과 강형신 간사님을 P국 선교사로 파송하는 시간도 갖습니다. 



자세히 보고 등록하기(클릭)

 

한국기독교사회TCF 여름 수련회 안내


주 안에서 존귀한 선생님을 제76회 TCF 여름수련회에 초대합니다!

"교사, 돌아봄에서 회복으로"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나를 주 앞에서 쫓아내지 마시며

주의 성령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 주의 구원의 즐거움을 내게 회복시켜 주시고

자원하는 심령을 주사 나를 붙드소서. (시편 51편10~12절)

선생님, 서천의 아름다운 석양을 선생님과 함께 누리고 싶습니다. 이번 수련회는 선생님의 내면을 살피는 시간, 찬양과 교제의 기쁨을 누리며, 기독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다시 견고히 세우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멈추어 돌아보는 시간은 회복의 시작입니다.

너무나도 귀한 선생님을 그 회복의 시간으로 초대합니다!


◎ 일시 :  2025년 8월 4~6일(월-수)


◎ 장소 : 서천 청소년수련원


◎ 주강사: 박윤만 목사 (대구 하늘깊은샘교회, 대신대 신약과정 교수)


◎ 주제강의1 : 송인수 대표(교육의 봄 공동대표, 前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 좋은교사운동 대표)


◎ 주제강의2 : "작가와의 만남" 

권지연 교사( '쌀을 씻다가 생각이 났어' 저자, 2025 대한민국 스승상 수상 및 '아름다운 선생님' 선정)


◎ 주제강의3 : "미국교실에 한국교육을 돌아보다" 

현승호 공동대표(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 前TCF공동대표),  이덕효 대표(TCF 대표간사), 강창대교사(서해중학교 수학교사)


◎ CCM힐링콘서트 : 염평안 with 조찬미 임성규




자세히 보고 등록하기(클릭)

기윤실교사모임 여름 수련회 안내


선생님. 오늘(18일)은 2차 등록 시작일입니다. 

아래 영상에는 우리가 함께했던 지난 수련회의 은혜와 기도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지난 은혜를 다시 누려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윤실 교사모임 수련회가 특별한 이유는 오직 하나, 바로 선생님입니다. 선생님과 함께하고픈 이들이 수련회에 모였습니다. 함께, 기쁘게, 그리고 용기 있게 걸어가는 이 길 위에서 선생님을 다시금 만나고 싶습니다.


<기윤실교사모임 여름수련회 등록>

주제 : 함께, 기쁘게, 용기있게 

일시 : 2025.8.5.~8.7.(2박 3일)

장소 : 덕양중학교 & 홍원연수원(경기도 파주)

1차 등록 : ~ 2025.7.17.(목) 까지 



영상보기(클릭)

자세히 보고 신청하기(클릭)

7. 회원단체에서 주관하는 믿을 수 있는 여름 학생 캠프

초,중,고등 학생을 위한 캠프 소식을 안내합니다. 아래 캠프는 모두 오랜 전통을 가진 좋은교사 회원단체의 학생캠프입니다. 주변에 추천도 해주시고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다음세대인 우리 아이들이 건강한 믿음을 가진 세대로 세워지길 기대하며 기도합니다!



학생 캠프 자세히 보기(클릭)

8. 이번 주 좋은교사는요^^

♥ 말 걸기 캠페인을 너무나 멋지게 실천하고 있는 박달중학교를 방문했습니다. 학교 선생님들이 함께 자발적으로 말 걸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었고, 특히 교장선생님께서 매일 급식시간마다 아이들에게 말을 건다는 이야기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런 사례들이 널리 널리 퍼져 나가면 좋겠습니다.


♥ 국정기획위원회 교육 신뢰 회복을 위한 5대 교육정책 제안

6개 교원단체와 함께 지난 화요일 국정기획위원회를 방문해 교원단체 공동요구안과 좋은교사운동의 5대 교육신뢰 회복 교육정책을 제안하고 왔어요. 좋은교사운동이 제안한 정책들이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잘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