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학교폭력 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회복적 생활교육’ 운동 시작
2월- “수업코칭 연구소” 설립 및 제1회 ‘수업코칭 전문가 과정’ 시작
6월-학교폭력에 대한 교사실천운동인 ‘아이들이 있는 곳에 선생님도 함께 있기’ 운동 시작
8월-제8회 기독교사대회 개최(1,600명 참여, 연세대 원주캠퍼스, 주제 : 새로운 교사가 온다), 『무모한 교사들』,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나와라! 교육대통령』 출간
2월-좋은교사운동 10년 비전보고서를 채택하고, 좋은교사운동과 회원단체간 협약 체결
5월-국가교육혁신위를 통한 교장공모제 합의안 도출
8월-제5회 전국교사대회 개최(1,800명 참여, 호서대, 주제 : 생명을 살리는 기쁨)
12월-개정 사립학교법 지지 성명
2월-송인수 교사 학교를 퇴직하고, 좋은교사운동의 실무 책임자로 5년 임기를 수행하기로 함
3월-예비교사아카데미 시작
10월-NEIS 사태 파국 막을 중재안 제출, 이 안을 중심으로 극적 타협.
1월-좋은교사운동 연수 캠프 시작
5월-학생평가 중심의 새로운 교원평가 제도 도입 찬성 성명서 발표
5월-좋은교사운동 사단법인으로 등록 승인
8월-제4회 전국교사대회 개최(1,800명 참여, 호서대, 주제: 교육을 새롭게 하는 힘)
1월-본부 사무실을 서울에 휴직 교사가 상근하기로 결의 함(정병오, 송인수)
3월-전문모임인 “협동학습연구회”와 “깨끗한미디어를위한교사운동” 시작
8월-제2회 전국교사대회 개최(1,200명 참여, 한국교원대, 주제: 좋은교사 바른교육), 교사실천운동으로서 ‘좋은교사운동’ 선포
9월-월간 『좋은교사』 창간
9월-고통받는 아이와 교사 일대일 결연 캠페인 시작
8월-교원노조 합법화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 운동이 나아갈 길을 연구, 2000년 전국교사대회 때 공동체적으로 선언하기로 함.
8월-기독교 신앙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소규모의 4개 교사모임이 우리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연합하기로 결정
3월-교사신문 발행. 5만부를 발행하여 11,000개 전국 초중고 학교와 각 회원단체에 배포.(이후 분기 1회 발행, 2002년까지 19호 발행)
8월-제1회 전국교사대회 개최(900명 참여, 강원대, 주제: 다음 세대를 책임지는 교사)
1월-1998년 여름에 전국교사대회를 개최하기로 합의.